수면장애에 대한 임상적 접근법
#통합정신의학 #대학원 #수면장애 #불면증 #불면의평가 #수면위생교육 #멜라토닌
key point▶잠은 단순히 깨어나지 않은 상태가 아니다. 몸과 마음을 변화시키는 활동적 뇌 과정의 결과다.▶불면과 과도한 졸음은 수면기록, 실험실 검사,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여러 원인을 찾아야 한다.▶불면은 정신장애의 결과이지만 건강인의 불면이 시작돼 지속되면 우울증이나 불안장애, 약물사용장애 등 향후 정신장애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.▶수면위생에 집중하는 통합적 접근은 가장 효과적인 불면 치료의 시작점이다.▶인지치료, 이완치료, 수면제한도 효과 있는 치료 중재다.▶복수의 약을 포함한 약물치료는 잠재적으로 유용한 경우가 있으나 잠재적 의존성과 부작용에 주의가 필요하다.▶ 수면무호흡은 주요 수면장애의 원인으로 체중감소, 지속기도양압(CPAP)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관리될 수 있다.▶기면증, 하지불안장애, 사건수면(paras nomnia)도 수면문제가 있는 환자에게서 평가받아야 한다.
